진단 사례

명진단영상검진센터를 찾아주신 분들의 소중한 진단 사례입니다.

명 진 단 영 상 검 진 센 터 명진단 진단 사례

				 

47세 여자환자로 우측 유방에 촉지되는 종괴를 주소로 본원에서 시행한 초음파 검사상 2cm크기의 저에코의 균질한 종괴가

보입니다. 소견으로 보아 양성 종양의 가능성도 있지만 악성종양중 수질암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소견입니다. 확진을 위해 조직검사가 필요한 증례입니다.

				 
50세 남자 환자로 흉부 단순촬영상 폐문부위의 종괴 음영으로 임파절 종대를 동반하는 질환을 의심하고
본원에서 흉부 CT촬영을 시행했슴. CT촬영상 유육종증의 가능성이 높아 보였으며 최종 조직 검사상 유육종증(sarcoidosis)으로 판명됨.

 
   * 유육종증 (Sarcoidosis)
  • n원인 불명의 다장기육아종성질환(多臟器肉芽腫性疾患)
  • 폐. 폐문부 림프선, 피부, 눈, 심장 그밖의 여러 장기와 조직에 육아종을 형성
				 

63세 남자로 갑자기 발생된 좌측 부위의 마비 증세로 내원하여 Brain MRI검사를 시행했슴.평소 고혈압이 있었으나 본인 임의로 중단한 상태임. 

 

				 

45세 여자 환자로 4개월전부터 시작된 유즙분비 및 유즙분비 호르몬 수치 상승으로 내원하였슴.  뇌하수체 미세선종을 의심하여 Brain MRI를 시행하던 중 뇌동맥류를 우연히 발견하게됨.  다른 목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매우 중요한 이상 질환이 발견된 경우로 환자에게는 매우 다행스러운 결과였슴.

				 

34세 여자 환자로 수일전부터 머리가 아파서 잠을 잘 수가 없을 정도였슴. 외부에서 CT촬영을 했지만 이상소견은 발견 못했슴.

				 

78세 남자환자로 두통을 호소하여 내원하였슴.외부에서 CT촬영을 하셨으나 이상 소견은 발견못한 상태임.

본원에서 시행한 Brain MRI상 작은 크기의 종양이 발견됨.MRI가 CT보다 우수함을 시사하는 증례임.

				 

37세 남자환자로 이명현상, 심한 현기증으로 다른 병원을 방문하였으나 별다른 이상이 아닐 것으로 간과하고 원인규명이 되지 않은 상태였슴. 본원을 방문하여 MRI검사를 시행하고 뇌종양이 발견되었슴. 증세에 대한 면밀한 검토 및 철저한 검사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는 증례임.

 

				 

49세 남자환자로 현기증을 주소로 내원했슴.Brain MRI상 뇌실질내 출혈이 발견되었슴.

				 

55세 여자환자로 심한 어지러움증을 주소로 내원했슴.Brain MRI상 좌측 소뇌 뇌교각 부위에 작은 종양이 발견됨.(CT상 발견하기 어려운 위치임)

				   
42세 여자환자로 최근에 발생된 무월경 및 유즙분비를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심. 유즙 분비 호르몬 수치가 상승되어 있었슴.
Brain MRI검사상 뇌하수체내에 전형적인 미세선종이 발견되었슴. 
				 51세 여자 환자로 7개월전에 발생된 좌측 시력저하로 본원에 내원하여 Brain MRI검사를 시행함. 검사상 좌측 시신경 경로를 따라 종양이 발견되었슴.				 
				 9세 여자환아로 같은 연령대의 아이들에 비해 짧은 신장을 주소로 내원하여 수부 단순촬영을 시행함. 4,5번 중수골의 말단부를 연결하는 선이 3번 중수골의 원위부를 지나가는 소위 '중수골 징후 양성'소견을 보임. 이는 Turner syndrome(염색체 질환)에 합당한 소견임.				 
				 내원 한달전 좌측 흉부를 모서리에 부딪히면서 다치심. 심해지는 통증으로 내원하여 시행한 단순촬영상 좌측 8번 늑골에 골절이 보임.				 
				 46세 남자환자로 10일전부터 시작된 우측 슬관절부위의 통증으로 내원하심. 외상을 받은 병력은 없슴. MRI 검사상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에 완전 파열을 시사하는 소견이 보임. 관절부위에 증세가 있는 경우는 증세가 경미하더라도 중요한 이상 소견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MRI와 같은 정밀검사가 반드시 시행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증례임.				 
				 

32세 남자 환자로 1년전에 발생된 우측 외이도의 분비물을 주소로 내원하여 본원에서 CT검사를 시행함. 검사상 중이의 이소골은 거의 파괴되어 있는 상태이며 인접한 부위에 비정상적인 연부조직 병소가 보이고 있슴. 만성 중이염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합병증인

진주종으로 진단됨.

				 35세 남자 환자로 내원 1달전 시작된 코막힘 증세로 이비인후과를 경유하여 본원에서 CT검사를 시행함. 비인두부위에는 좌측으로 치우쳐서 비정상적인 연부조직 병소와 함께 인접한 골 구조물에 파괴소견이 보이고 있슴. 비인두암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진단을 하였으며 3차병원으로 전원되어 비인두암으로 최종진단을 받고 항암, 방사선 치료를 받고 있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