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남성의 내시경 진단 사례로 주기적인 대장내시경을 받지 않으시다가
대장내시경 검사시 큰 용종도 많이 나오고 진행된 대장암도 발견된 사례입니다.
내시경검사와 용종절제술로 위,대장암의 예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받기 힘들다는 이유로 거르고 검사를 미루시다 보면 이런 용종들이 자라서 암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가 위 대장암 예방의 지름길입니다.
  (돌출되어 보이는 용종(좌)과 깔끔하게 용종절제술 후의 모습(우))
  (대장내시경중 발견된 커다란 용종(좌)과 용종절제술로 떼어내고 있는 모습(우))
  (대장암이 발견된 커다란 용종(좌)과 용종절제술로 떼어내고 있는 모습(우))
|
|
|
|
안녕하세요 명진단영상의학과입니다.
58세 남성분의 갑상선 암 재발 조기진단사례입니다.
환자분은 2006년에 종합검사 결과 갑상선에서 암이 발견되어 수술을 하셨습니다.
꾸준한 건강 관리를 해오셨기에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에서 조기 갑상선암을 진단한 케이스입니다.
작은 크기의 결절을 정확하게 세침검사하여 조기진단할 수 있었습니다.
 (갑상선 초음파로 보이는 미세결절)
 (갑상선 초음파로 보이는 갑상선암)
건강한 삶을 만드는 명진단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57세 여성의 미세한 뇌동맥류 진단사례입니다.
사이즈가 아주 작은 1.5mm의 뇌동맥류가 있어 고해상도 3T MRI에서 진단된 사례입니다.

(1.5mm의 미세한 뇌동맥류를 뇌혈관 MRA 검사로 진단한 사례)
|
54세 남성으로 평소 고혈압과 당뇨도 없는 상태이셨지만 가족력이 있으셨고
최근 가슴의 답답함을 느껴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심장 CT 검사를 받으셨습니다.
심장관상동맥 검사 결과 좌하행 관상동맥에 심한 협착(90% 이상, 8.9mm)이 발견되어
응급으로 진료연계하였습니다.
관상동맥 협착이 심각한 상태였지만 다행이 늦기전에 검사를 하셔서
진단으로 생명을 구할 수 있었던 사례입니다.
관상동맥 협착은 심장돌연사의 가장 큰 원인이지만 큰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을 받으시거나 가슴의 답답함이 지속된다면 꼭 검사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
위내시경 검사 중 발견된 식도암 조기진단 사례
조직검사 결과 식도암 1기로 판명되었으며 대학병원으로 전원하여 치료
|
|
2008년 본원에 도입된 64CT로 검사결과 심장관상동맥이 50% 협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그 후 위기감을 느끼고 운동과 관리를 해오시다 2013년 128CT로 추적검사결과 협착이 10%정도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8년 심장CT 검사 결과 관상동맥이 50% 정도 협착이 된 모습)

(2008년 심장CT 검사 결과 관상동맥이 50% 정도 협착이 된 모습)
2013년 추적검사 결과

(2013년 128채널 심장CT 검사를 통해 확인한 심장의 3D 모습)

(2013년 심장CT 검사결과 협착된 부분이 줄어들어 있다)
환자분은 2008년 검사 후 자신의 건강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게 되어 꾸준한 관리를 하셨기 때문에
오히려 심혈관의 상태가 더욱 좋아지게 되었습니다.
|
|
고해상도 검진장비인 3T MRI & MRA를 통해 진단한 2mm 이하의 뇌동맥류 진단사례 입니다.
두통과 어지럼증이 있는 50대 여성으로 다른 장비로 검사를 해봤으나 아무런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이번에는 3T MRI & MRA 로 검사한 결과 2mm 이하의 진단하기 어려운 뇌동맥류가 발견되었습니다.
|
3T MRI로 진단한 췌장암 사례 입니다.

췌장의 종양(O 표시)이 췌장관을 막아 췌장관이 확장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위선종 60 세 여자환자 평소 식후 속쓰림으로 위내시경 검사상 위 전정부 전벽에 약 1.0cm 크기의 작은 함몰형 병변이 보여 조직검사상 위 선종 저등급 이형성으로 나와서 3차 병원 진료의뢰함- 현재 내시경 치료 대기중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