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사례

명진단영상검진센터를 찾아주신 분들의 소중한 진단 사례입니다.

명 진 단 영 상 검 진 센 터 명진단 진단 사례

				 

40대 중반의 여성으로

5년전에 저희 병원에서 갑상선암(조기암상태) 를 진단받았던  분이다.

.......

그후 지속적으로 정기검진을 받아왔으며

......

이번에 정기검진에서 1차 초음파검사에서 약 1 cm 콩알 크기의 결절이 우신장에 보여

CT 검사를 했더니 조기 신장암으로 밝혀졌고 ,연대 병원에서 로봇 수술( 신장을 완전 절제하지

않고 부분절제만의 최소 수술)로 종양을 제거한후

5일 만에 퇴원한 케이스다.

 

조기발견하면 , 최소의 수술요법으로 ,최단기간의 입원으로 어떤암이든지 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한병원을 믿고 건강을 맡긴분으로 , 저희 병원에서 두번씩이나 조기암 상태를

 

발견했던 증례이다.

				 조기 검진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증례이다.				 
				 metastatic CA to liver				 
				 30대초반에 생긴 보기드분 퇴행성 관절염				 
				 neurogenic tumor in internal auditomy canal				 
				   

















				 치료시기를 놓친.. 너무 늦게 발견된 폐암				 
				 전립선 침범 가능성이 있는 방광 좌측에서 자란 종양				 
				 

심방중격(atrial septum) 상에 결손(구멍)이 있는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크기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전체 선천성심장질환의 10%정도를 차지하며 여자에서 남자보다 두배정도 잘 생긴다. 성인에서 발견되는 선천성 심장질환 중에서는 가장 흔하다. 심방중격결손 중에서는 난원와형(fossa ovalis defect)가 가장 흔하며 80%에 이릅니다.

 

대개 원인을 알 수 없이 산발적으로 생기며, 간혹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기도 한다. 홀트-오람 증후군이 그 한 예입니다.

 

단락의 양이 적을 때(Qp/Qs < 1.5)는 소아기에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운동시 호흡곤란, 폐의 감염, 피로감이나 심계항진(palpitation)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예측하기 어려우며 40세 이상일 수도 있습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운동못견딤(exercise intolerance)과 심실상성 부정맥(심방세동, 심방조동, 동기능부전증후군)으로 인한 증상이다. 좌심실의 탄성을 감소시키는 조건(고혈압으로 인한 좌심실비후, 심근병증, 심근경색)에서는 좌-우단락이 증가하고 증상은 악화된다.

				 활동성 폐결핵-64MDCT				 
				 폐암-64MDCT				 
				 

첫번째 사진 췌장에서 시작되어 두번째 사진인 폐로 전이된 사례

암의 조기진단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증례이다.

				 80%협착된심장관상동맥				 
				 폐결절				 
				 이제 64MDCT로 췌장도 한눈에..				 
				 심장관상동맥 90%협착